데이터 저장 용으로
구매하게 되었습니다
제품 이상 없이 빠르게 잘 받았고 비슷한 사양과 용량으로
가격대 여기 저기 살펴보다가 제일 나은 거 같아서 질렀습니다
제 메인보드에는
1번 슬롯 Gen4 규격 (M.2_1 slot PCle 4.0) 에는 다른 제품의 M.2 SSD에 윈도우 11 설치되어 있고
2번 슬롯 Gen3 규격 (M.2_2 slot PCle 3.0) 에 구매한 마이크론 Crucial P3 PLUS M.2 SSD 장착 했습니다
Gen3 규격에 장착했기에
읽기 쓰기 속도 Gen4 규격 보다 낮게 나오는 건 당연합니다
Gen4 에는 메인보드 자체 방열판이 있는데
Gen3 자리에는 방열판이 없어서 별도 구입 추가해서 장착했습니다
그래도 일반 SATA SSD 보다는
6배 가까이 더 빠르게 속도가 나오니 데이터 저장 용으로는 좋을 거 같습니다
속도 테스트 위쪽은
윈도우 설치된 다른 제품 M.2 SSD 인데
마이크론 Crucial P3 PLUS M.2 SSD 와 비슷한 사양이니까
Gen4 규격 슬롯에 장착하면 저 정도 속도가 나온다고 봐도 되겠습니다
메인보드에 M.2 SSD 장착하셔도
내 컴퓨터에 드라이브 잡히지 않습니다
바탕화면 클릭 WIN+R키 눌러주시고
검색 항목에 diskmgmt.msc 입력 하시면 디스크 관리 창이 나옵니다
(다른 방법= 내 컴퓨터 마우스 우클릭 창 나오면 관리 클릭 컴퓨터 관리 창에서
왼쪽에 디스크 관리 클릭 하셔도 됩니다)
디스크 관리 창 띄우면 디스크 초기화 창이 뜨고 초기화 해주시면 온라인 상태가 됩니다
그리고 포멧 해주면 드라이브가 잡힙니다
포맷 창에서 MBR GPT 모드 선택에서
저는 MBR 은 2TB 까지 가능하며 구 버전이고
GPT는 더 많은 용량과 더 나은 데이터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에 GPT 방식 했어요
참고 들 하시라고 적어봅니다
박스 안에 M.2 SSD 메인보드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 있습니다
제 메인보드에는 M.2 SSD 고정 이음새 부속이 있어서 별도로 필요하지 않네요
박스에 붙어있는
정품 스티커 떼서 SSD에 꼭 붙여 주세요
AS 받을 일이 생기면 붙어 있어야 된다고 합니다
제 컴퓨터 같은 경우에는
그래픽 카드를 탈거 해야 M.2 슬롯에 장착이 됩니다
메인보드 마다 다르니까 참고하세요
제품 이상 없고
설치 무리 없이 잘 되어서 만족합니다